반응형

우리가 어떠한 물건을 구매 하게 된다면 그에 따르는 A/S 기간이 따르게 된다. 보통 1년 무상으로 하고 그 다음부터는 유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보보호에도 마찬가지로 정보보호 제품을 구매 하고 나면 유지보수 비용에 대하여 갑론을박 말이 많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업계에서는 많은 비용을 감내해야 하는게 현실이다.


관련기사



특히 기사에서는


국내 공공 부문 정보보호 SW 유지보수 요율은 평균 7.8%, 대기업과 금융권을 포함한 민간 부문은 10.3%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5일 전자신문이 국내 연매출 100억원 이상의 주요 정보보호 SW 9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2006년부터 2009년 4월까지 유지보수 요율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출처 : 전자신문

낮은 유지보수 비율로 인하여 해당 업체는 비용 부담이 되고 , 그러다 보니 서비스에 어려움이 있고 이런 악순환의 고리가 반복 되는것이다.



1. 제대로 된 롤 모델이 아쉬워


국내 정보보호업계 공공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제대로 된 롤모델이 있었으면 한다. 비용절감 차원에서 부담이 되긴 하겠지만 늘 그렇듯이 제대로 한번 롤 모델을 세워 정보보호 유지보수 비율을 어느정도 현실화 하여 책정하고 그에 따른 모범적 사례가 되면 제품 공급 기업은 더 나은 여건으로 유지보수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

늘 그렇듯이 싼게 비지떡일수 밖에 없다.  악순환의 고리가 끊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최소 20%는 넘겨야”=전문가들은 보안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선 최소 20% 이상의 유지보수 요율은 보장해야 안정적인 서비스는 물론이고 연구개발(R&D)에 재원을 투입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출처: 전자신문

정보보호 중요하다고 외치지만 현실을 하나 둘씩 파헤쳐 보면 참 암담하기 그지 없다. 향후 이러한 부분들은 점차 나아지리라 생각을 한다.




2. 누구나 원하는 수퍼(Super) 갑 (甲)



보통 유지보수 계약은 다른 계약과 마찬가지지만 "갑"과 "을"이 존재 하게 된다. 그러다 보면 여러가지 무리수를 두는 경우들도 많다.

3년 무상 서비스 요구에 휴일 대체 근무까지=업계의 한 사장은 “무상 유지보수 1년은 한국에만 있는 특수한 상황이다. 공공 부문은 3년 무상 유지보수를 요구하는 곳도 많다”고 말했다. -출처: 전자신문


이제는 어느정도 현실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크다. 이런 노력은 상호 협력을 통하여 여러가지 방안을 모색하여 각자 본인들 입장에서만 주장을 하기 보다 서로 협력하고 조력 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해 보아야 한다. 그래야 또 다른 선순환에 고리로 엮어질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노력으로 업계도 노력하고 해당 제품을 도입하는 담당자도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야 하며 법적 제도적으로 현실화 문제도 검토해 보아야 할 단계이다. @엔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