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yptograph
신원기반 공개키 암호 시스템
엔시스
2008. 3. 13. 14:49
반응형
신원기반 공개키 암호시스템
- 1984년 shamir에 의해서 처음 제안이 되었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자 공개키는 전자 우편주소나 주민번호처럼 잘 알려진 정보로 공개키를 생성할수 있다.
- 통신하고자 하는 서버나 제 3자에게 문의하지 않고 상대방 신원을 알고 있다면 공개키를 생성할수 있는 것이다.
- 신원기반 공개키 암호시스템에서는 개인키는 자신이 직접 생성할수 없고 PKG(Private Key Generate)라는 신뢰기관으로 발급을 받아야 한다.
- 이 PKG는 모든 사용자의 개인키를 생성시킬수 있고, 서명을 할수 있기 때문에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이것이 단점이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기관에 발급 권한을 분배하여 n명의 기관중 t명 이상 협조해야 개인키를 생성을 할수 있다. 이것을 암호학에서는 쓰레시홀드기법(threshold)기법이라 한다.
간단하게 이해를 할수 있다.계속 정리해 나가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