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435건

  1. 2011.02.09 Vulnerability Scanners, Security Sssessment Tool
  2. 2011.02.07 ISMS 인증서 발행 얼마나될까?

반응형


1. pcap : 두말하면 잔소리인 Packet Capturing API(or Library or Interface).
2. Wireshark : 현존하는 Sniffer중에 가장 보편화된 스니핑 툴.
3. TCPDump : Command Line Interface 기반의 스니핑 어플.
4. TCPReplay : Capture File을 특정 Adapter로 쏴 주는 어플.
5. TCPView : Process 별로 IP/Port 할당 정보를 보여 주는 툴.
6. NetPeeker : Session 별로 Network Bandwidth를 제어(조절)해 줄 수 있는 툴.
7. Agilent : Heavy Traffic 쏴 주는 장비.

1. Cain&Abel : ARP poisoning, Certificate Spoofing, Password Cracking
2. Burpsuit+Cooxie : proxy tool
3. Immunity Debugger, ollydbg(vmprotect 패치버젼), IDA, PEID, WinHEX, LordPE 등 : 리버싱
4. REGshot, HiJack This, Filemon 등등 : 시스템 모니터링
5. Metasploit, Nessus : 시스템 취약점 분석 이라고 해야할까요 워낙 유명해서
6. Kismac, Kismet, aircrack, airdump : 무선 취약점 분석
7. memdump : 메모리 덤프 john the ripper / chntpw


http://dual5651.hacktizen.com/new/webshell.php

-- DDoS, Network 성능계측장비 -
17. SmartBit(SPIRENT 사) : Throughput
18. Avalanche(SPIRENT 사) : 세션관련 성능 계측
19. BreakingPoint : 세션관련 성능 계측

-- 네트워크 통신량 측정 --
20. nProbe : Flow기반 모니터링 오픈 소스 
21. Flowscan : 트래픽 시각화 도구
22. nTop
23. MRTG

pe : studpe, peview lordpe
언팩툴: vmunpacker
리버싱 툴 : ollydbg,winalysis,iceword
종합 툴 : SysinternalsSuite
네트워크 : 와이어 샤크




반응형
,

반응형

ISMS 인증심사를 통하여 과연 지금까지 ISMS인증심사를 통과 하여 인증서 발행인 된 발행수는 얼마나 될까요? 한국인터넷 진흥원 홈페이지에 확인을 해 보니 지금까지 99개 업체가 인증서를 교부 받았네요.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


2002년부터 약 9년동안 99개 업체가 인증서를 교부 받았는데, 무조건적인 인증서 남발 보다는 정말 인증서를 받을 만한 곳에서 받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 생각을 한다.

또한 이러한 요인중에 하나가 '정보보호관리체계'에 대한 인식은 하고 있으면서 막상 인증심사를 신청과 인증을 받기까지 여러가지 애로 사항이 있는게 아닌가 생각을 한다.

하지만 위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연도가 지날수록 인증수는 점점 증가를 하고 있으며, 기존 인증 업체중에서 ISMS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 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욱 강조가 되어, 다수의 기업체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준비를 해야 한다. 또한 관련 기관에서도 문턱을 더욱 낮추고 있으며, 인센티브 제도를 늘이고 있기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 볼만하다.

기타 언급하고 싶은 것 중에 하나는 IT관련 인력에 대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 또한 보안에 관심을 가질수록 나이가 들어 가는 것은 어쩔수 없다. 이러한 유용한 인력을 다시 활용 할 수 있는 그 경험과 지식을 재 활용할 수 있는 인력의 활용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나이가 든 시니어 급 보안인력들도 ISMS 에 적극 관심을 가지고 한번 연구 해 볼 가치가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필자는 늘 관리체계를 접하면서 느끼는 생각은 그것이 꼭 '정보보호' '보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한다. 관리체계를 잘 수립하는 사람은 인생에 있어서도 자신의 인생의 관리체계를 잘 수립할 수있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처음에 보안에 대한 영역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자신에 인생에 대한 관리체계까지 수립을 할 수 있다면 그 얼마나 멋진 일인가?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긴 안목에서 다시금 신발끈을 조이는 것은 순전히 자신의 몫임을 기억 해야 할 것인다. @엔시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