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랜카드 속도설정과 전송모드 설정하기

1. mii-tool 를 이용

Ethernet Card Interface 를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때 주의할 사항은 잘못된 설정을 하였을 경우, 랜카드가 연결이 끊긴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네트워크로 작업을 할경우 잘못하다가는 서버에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용법
- 이더넷 설정확인: mii-tool -v eth0
- 이더넷 설정변경: mii-tool -F 100baseTx-FD eth0



2. modprobe 를 이용

리눅스 커널의 모듈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법
- 이더넷 설정변경: modprobe eth0 speed_dumplex=4

speed_dumplex=0 : auto detection
speed_dumplex=1 : 10M half duplex
speed_dumplex=2 : 10M full duplex
speed_dumplex=3 : 100M half duplex
speed_dumplex=4 : 100M full duplex


3. ethtool 이용

일반적으로 스위치나 서버의 NIC에서 속도설정은 대부분 auto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설정작업을 하지 않아도 대부분 속도는 맞게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가끔 제 속도가 나오지 않은 경우 ethtool을 이용함으로 해결할 수 있다.

ethtool은 현 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Ethernet card의 속도 설정 문제와 전송모드(full, halt)를 설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툴이다.

사용법
- 이더넷 설정확인 : ethtool eth0
- 이더넷 설정변경 : ethtool -s eth0 [speed 10|100|1000] [duplex half|full] [autoneg on|off]

ethtool로 eth0장치 정보출력


Supported Link Modes : 지원 가능한 링크모드.

Supports auto-negotiation : 자동 협상 인식기능의 지원여부.
Autonego = 속도등의 자동인식 여부.

출처: http://realmind.tistory.com/entry/랜카드-속도설정과-전송모드-

반응형
,

반응형

대부분 USB를 이용한 메모리를 많이들 사용합니다.   디카로 사진을 찍고 메모리에서 로딩을 하려는 순간 당황하게 되었습니다.

그건 바이러스 걸렸다는 메세지와 함께  이동디스크로 연결된 USB메모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다행히 백신 프로그램을 깔아 놓아서 알게 되었지만...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개인은 무료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AVG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위험한 메세지 ...
아..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건 디카에 들어있는 각종 사진이었습니다..인식이 안되니 삭제밖에 할수 없는 상황인지 ...

이 눔의 바이러스는 정말 어떤 짓을 할지 모르니 ....

별로 뾰족한 수가 안나와서 한참 고민을 하다가 다시 USB를 연결하고 나서 자동으로 뜨는 프로그램으로 일단 파일을 복사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바로 클릭해서 이동디스크쪽으로 파일을 읽을수 없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한 탐색기능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바이러스는 치료하여야 겠지요...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