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해커즈뉴스

1. vi /var/log/messages 확인



2. ls -alR /tmp 나 ls -alR /var/tmp로 /tmp 디렉토리의 숨겨진 폴더 확인



3. /etc/passwd, /etc/shadow파일 확인

 /etc/passwd 파일에서 uid가 0이거나 불법적인 새로운 계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etc/shadow 파일에서 암호가 없는 계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4. 열린 포트 확인

 ps -ef나 netstat -an으로 현재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점검한다.
 nmap등의 스캔프로그램으로 열린포트 확인
 lsof로 확인(lsof는 System에서 돌아가는 모든 Process에 의해서 Open된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5. rkhunter 설치

http://downloads.rootkit.nl/rkhunter-1.2.7.tar.gz
tar zxf rkhunter-1.2.7.tar.gz
cd rkhunter
./installer.sh
rkhunter -c



6. bind 버전 확인

rpm -q bind



7. setuid나 setgid파일 확인

setuid를 가지는 실행 프로그램은 실행도중에 슈퍼유저(root)의 권한을 가지고 실행되므로 find를 이용하여 setuid나 setgid 파일이 있는지 확인한다.

 find / -user root -perm -4000 -print>suidlist
 find / -user root -perm -2000 -print>sgidlist



8. find /dev -type f -print
(/dev 밑에 일반파일이 있는지 찾음->원래 dev밑에는 일반화일이 있으면 안됨)

* fc3 이후에는 /dev내에 /udev관련 파일이 존재함



9. rpm 변조 여부 체크

rpm -Va | grep ^..5
반응형
,

반응형
mii-tool 을 사용해 보자!!

[root@reach-ovpn2 root]# mii-tool
eth0: 100 Mbit, full duplex, link ok

usage: mii-tool [-VvRrwl] [-A media,... | -F media] [interface ...]
     -V, --version          display version information
     -v, --verbose          more verbose output
     -R, --reset           reset MII to poweron state
     -r, --restart          restart autonegotiation
     -w, --watch           monitor for link status changes
     -l, --log             with -w, write events to syslog
     -A, --advertise=media,...  advertise only specified media
     -F, --force=media       force specified media technology
media: 100baseT4, 100baseTx-FD, 100baseTx-HD, 10baseT-FD, 10baseT-HD,
     (to advertise both HD and FD) 100baseTx, 10baseT

# mii-tool eth0 -F 100baseTx-HD : 100baseTx-Half Duplex
# mii-tool eth0 -F 100baseTx-FD : 100baseTx-Full Duplex

다시 auto negotiation 으로 할려면

# mii-tool eth0 -r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