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스코 시스템즈 미국연방기관 보안의식 조사

지난 11월8일 시스코시스템즈가 미국 연방국가기관과 군관계 기관의 보안의식 조사에 따르면 IT부분 종사자의 40% 이상은 지난해에 비해 보안준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더 우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방화벽 구축 제일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보안정책 중요도 조사 결과>

보안구성 요소보안관련 정책중요도에 따른 조사를 보면 네트워크 방화벽에 가장 많은 정책 우선을 두고 있으며 돌발 상황 대응 능력도 84%나 차지 하고 있었다..

또한 봇과 스파이웨어는 네트워크 보안에서 가장 우려하는 사항으로 나타나고 있다...교육이 되지 않거나 무관심한 사용자라는 답변도 53%나 되는 것으로 보아 보안에 대한 마인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봇(BOT)과 스파이웨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안 이슈들에 대한 우려정도>

또 한가지 재미있는 통계는 네트워크 보안 구축에 걸림돌이 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조사결과 자금 및 예산에 대한 확보가  가장 걸림돌이 되었으며 보안교육을 시켜야할 대상자가 늘어 났다는 것에도 55%나 되었다..

보안구축에는 아직도 자금과예산이 필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트워크 보안 구축에 걸림돌이 되는 구성요소>


마치며

날로 다양해지는 보안위협에 대하여 많이 홍보와 인식을 시킴에도 불구하고 그져 귀찮은 존재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든다,.
위 조사 결과에서도 보듯이 자금과 예산이 부족하고 보안교육 대상자가 증가함에 따라 보안에 따른 효율은 떨어질 것이다..무엇보다 보안 기술도 중요하지만 어떤 자세로 정보에 대한 보호에 임하느냐가 더 중요할 것이다..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 교육을 하였지만 일회성으로 그치거나 이벤트성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어떤 조직이나 기업, 또는 국가에서  전반적인 보안 의식 함양에 앞장서서 다 같이 동참할때 만이 자기 스스로도 보호 될수 있고,  보안하는 사람 따로 사용하는 사람 따로 라고 생각한다면 결국 자기자신을 보호하지 못한다 사실을 명심하기 바란다. @엔시스

덧글.
 
위 포스팅은 ITFIND 의 최근 IT동향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반응형
,

반응형

연구나 공부하시는데 유용하게 쓰이는 기술 동향 몇가지 올려 놓습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바이오 정보 기반 디지털 키 생성 및 보호 방안

2. 국내 분야별 정보화 동향(2007.12.03)


3. 2008년 10대 IT기술 전망


저도 아직 전부 읽어 보지 못했는데 참고 하시면 기술적 동향이나 흐름을 파악하시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기술적으로 아주 자세히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IT특성상 기술은 빨리 변하기 때문에 시대적 흐름을 빨리 읽을수 있어야 합니다..참고 하시기 바랍니다..@엔시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