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가공인 정보보호전문가 자격증 갱신

오늘 국가공인 정보보호전문가 자격증(SIS1급)  갱신 기간이 만료가 되어 할수 없이 갱신 교육을 이수 하기 위하여 정보보호 기술훈련장에 접속을 하였습니다.

지난번 자격증 2급 이수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쉽게 하기 위하여 하였지만 지난번에는 2급 자격증 갱신 보수 교육이고 지금은 SIS1급 자격증 갱신 보수 교육이기 때문에 로그인이 틀립니다.

그러니 다시 회원을 가입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접속하니까  KSIA에서 운영하는 것인 만큼 개인정보 누출의 대책으로 아이핀으로 가입할수가 있어 이번에는 아이핀으로 가입을 해 보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참고 하여 아이핀을 많이 사용하여 개인정보보호를 강화 시키기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핀 발급싸이트

위 그림에 보듯이 http://www.vno.co.kr에서 가입 절차를 하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니까 아이핀 신규 발급을 받아야 겠습니다..그래서 박스쳐신 화살표시된 부분을 클릭을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 이용약관에 동의를 해야만 한다.. 안하니까 다음 과정으로 넘어 가질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다음은 본인 신원을 확인 하는 단계입니다..여러가지가 있지만 휴대본이 가장 쉽겠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대폰을 선택하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휴대폰 번호를 넣습니다...본인 명의가 아니면 곤란 하겠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대폰으로 다섯짜리 인증 번호가 날라 옵니다...잠시만 기다리시면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게 하여 인증단계가 끝나면 아이핀 번호가 발급이 됩니다...별다른 어려운 절차는 없습니다. 다만 이렇게 한다는 것 자체가 귀찮고 번거로운 과정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개인정보 수집 싸이트에서는 반드시 이러한 아이핀을 이용한 회원 가입이 이루어 져야 할것이고 무분별한 개인정보 (주민번호,주소,휴대폰번호)등은 모집 하지 말아야 할것입니다.  만약, 모집을 한다면 개인정보보호 관리를 잘 하셔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아이핀 제도가  장점만 있는것이 아니라 단점도 있습니다..사망자 주민번호를 이용하거나 남의 주민번호를 도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제 할수 있는 부분도 단점이긴 합니다만  점차 수정 보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아이핀 제도란?

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터넷상 주민번호를 대체하는 개인 식별 번호.

아이핀(i-PIN)은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의 유출과 오남용 방지를 목적으로 2005년 정통부가 마련한 제도로, 대면확인이 불가능한 인터넷상에서 주민등록번호를 대신하여 본인임을 확인받을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번호이다.

“인터넷상 개인 식별번호(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의 영문 머리글자를 따 만든 용어로, 주민등록번호와는 달리 생년월일, 성별 등의 정보를 갖지 않으며 언제든 변경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아이핀은 2007년 현재 본인확인기관 5곳(한국신용평가정보, 한국신용정보, 서울신용평가정보,한국정보인증,한국전자인증)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으며, 하나의 아이핀을 발급받으면 아이핀을 적용한 사이트에서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반응형
,

반응형
애드센스 로그인시 에러 메세지

애드센스 로그인시에 잠시 장애가 날때는 다음과 같은 메세지를 뿌려 주는군요...워낙 많은 사용자가 사용해서 그런지 로그인 할때면 가끔 보게 되는 메세지입니다..

뭐 자주 보면 그리 좋지는 않은 현상입니다만 , 깜짝 깜짝 놀라게 됩니다...

그런데 중국어, 일본어는 보이는데 한국어는 안 보이는 군요..안타깝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은 시장이 작아서 그런가 봅니다..아니면 구글이 한국에서 힘을 못써서 그런가 하는
오해(?)도 살짝 해 봅니다..


아무튼 , 초보 사용자들을 위해서라도 에러 메세지를 보낼때에는 자국어로 조금씩 번역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바꾸어 생각해 보면 우리나라 웹싸이트도 장애나 에러가 났을 때에는 영어, 일어 ,중국어 정도는 서비스를 해 준다면 더 없는 서비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뭐.,,,글로벌한 기업이 아닌 다음에야 굳이 그렇게 까지 할 필요는 없지만 조금만 글로벌한 마인드를 가진다면 에러 메세지 글로벌화 ...너무 거창한가...

아무튼  결론은 서비스는 쉽고 간편하고 편리해야 한다는 것에 올인 해야 할것이다,..그래야 성공한다.
반응형
,